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렘수면 행동장애 치료법

by 밸런스 키 2025. 6. 28.

렘수면 행동장애란? 자면서 소리 지르고 꿈대로 움직이는 이유

자고 있는 동안 갑자기 큰 소리를 지르거나, 팔과 다리를 휘두르며 꿈속에서 하는 행동을 실제로 따라 하는 분들 계신가요?
이는 단순한 ‘몽유병’이 아니라, **‘렘수면 행동장애(RBD, REM Sleep Behavior Disorder)’**일 수 있습니다.

렘수면 행동장애는 최근 50대 이상 중장년층에서 자주 발견되며, 신경계 이상이나 퇴행성 질환과의 연관성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

렘수면행동장애



렘수면 행동장애란?

정상적인 수면은 크게 렘(REM)수면과 논렘(Non-REM)수면으로 나뉩니다. 렘수면은 뇌는 깨어 있고 몸은 마비된 상태로, 주로 생생한 꿈을 꾸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렘수면 행동장애 환자는 이 시기에 근육이 마비되지 않아 꿈속 행동을 실제로 수행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꿈에서 누군가와 싸우고 있다면 실제로 팔을 휘두르거나 소리를 지르는 식입니다.


---

주요 증상

잠자는 중 소리를 지르거나 고함을 침

손발을 휘두르거나 침대를 박차고 일어남

자고 나면 몸에 멍이 들거나, 옆사람을 다치게 함

꿈의 내용이 현실처럼 생생하고 격렬함

자고 난 후 극도의 피로감

특히 혼자 자지 않는 분들의 경우 배우자나 가족이 먼저 증상을 인지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왜 생기는 걸까?

 



렘수면 행동장애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이 주요합니다:

1. 신경퇴행성 질환의 초기 징후

파킨슨병, 루이소체 치매 등과 강하게 연관

초기 렘수면 행동장애 환자의 약 40~60%가 10년 내 파킨슨병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2. 약물 영향

항우울제, 수면제, 특정 정신과 약물 복용 시 유발될 수 있습니다.



3. 수면장애 또는 외상 후 스트레스

불면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과 동반될 수 있습니다.



4. 기타 원인

뇌간 손상, 알코올 남용, 수면무호흡증 등이 관련될 수 있습니다.





---

진단은 어떻게 받을까?

 



렘수면 행동장애는 단순한 수면 중 이상행동이 아닌 ‘신경학적 질환’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1. 병력 청취 및 수면 기록

언제부터 증상이 있었는지, 꿈의 내용, 증상 빈도 등 확인

가족이나 배우자의 목격 진술이 큰 도움이 됩니다.


2. 수면다원검사(폴리솜노그래피)

병원에서 1박 2일 입원하며 뇌파, 심전도, 근육 움직임 등을 분석

REM 수면 중 근육이 마비되지 않는 것이 핵심 진단 기준입니다.


3. 뇌 영상 검사 및 신경과 평가

필요시 뇌 MRI, 파킨슨병 선별검사 등 추가 검사 진행



---

치료 방법 – 약물 치료와 생활 관리 병행이 중요

 



렘수면 행동장애는 치료가 가능한 질환입니다. 특히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조기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약물 치료

클로나제팜: 증상을 억제하는 가장 많이 쓰이는 약물

멜라토닌: 부작용이 적고 고령자에게 적합

증상에 따라 신경과 전문의가 용량 조절


2. 수면 환경 조절

침대 주변을 안전하게 정리 (모서리 보호, 낮은 침대, 벽과 거리 확보)

옆 사람과 함께 자지 않기, 필요시 침대를 분리

잠들기 전 자극적인 영상, 알코올, 약물 섭취 자제


3. 원인 질환 치료

파킨슨병, 루이소체 치매 등과 연관성이 있을 경우 해당 질환 치료 병행



---

언제 병원을 가야 할까?

 



잠자는 중 이상 행동이 매주 반복되는 경우

소리 지르거나 손발을 휘둘러 가족에게 상해를 입히는 경우

꿈속 상황을 기억하고 있으며, 실제 행동과 연관되는 경우

일상생활에 피로감, 우울감, 기억력 저하가 동반될 때



---

결론 – 잠버릇이 이상하다면 단순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렘수면 행동장애는 단순한 수면 습관의 문제가 아닌 신경계 이상이 의심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특히 50대 이상 중장년층에게 자주 발생하며, 파킨슨병 등의 초기 증상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증상이 보이면 즉시 수면의학과 또는 신경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자면서 소리 지른다", "움직이며 꿈을 꾼다"는 말이 가볍게 들렸다면, 오늘 이 글을 계기로 건강한 수면의 중요성을 다시 돌아보시기 바랍니다.